Skip to content
Summary (AI Generation)

HDA 관리를 위해 Asset Definition Toolbar를 활용하여 경로와 어셋 위치를 확인하고, 버전 관리는 개발 버전(v0.5)과 배포 버전(v1.x)을 구분하여 아티스트의 작업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HDA 관리 팁

Asset Definition Toolbar 사용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경우 Asset Definition Toolbar 를 켜놓고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HDA를 개발하고 관리해야 할 때, 버전을 전환하거나 GIT 환경에서 해당 어셋이 클론된 레포지토리에서 작업 중인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인데 상당히 헷갈리기 쉽기 때문이다.

어셋 우클릭 후 `Show in Asset Manager' 에서 변경할 수 있다.

An image

An image

  • dev 환경에서 작업하고 있는지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가끔 이 자식은 어디서 나타난거지? 궁금할 때 어셋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버전 이동이 간편하다.

개발 버전은 1 아래로, 배포는 1 이상으로

버전 관리는 왜 해야할까? 어셋 수정하고 팀원들에게 껐다 키라고 공지를 할 수 있을 정도로 권위가 강력하다면 상관없다. 하지만 아티스트가 작업하는데에 흐름을 끊지 않고 나도 마음편하게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선호한다.

현행 버전의 어셋을 수정하는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사용중인 어셋에 버튼이 사라지거나 파라미터가 없어진다면 곧바로 에러가 난다.) 그렇기 때문에 버전 카피를 하나 해서 0.5 로 지정 후 실컷 개발을 하고 배포를 할 때, 지금 모두가 1.0 을 쓴다고 가정, 1.1 로 배포를 하면 된다. 후디니는 여러 버전이 존재할 경우 가장 상위 버전만 불러오기 때문에 이제는 작업자들이 새로 꺼낼때마다 1.1이 나올것이고 기존에 1.0들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 지금 아티스트들이 사용중인 1.0에는 영향이 없다. 그냥 seamless 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 새로 꺼내는 노드들 부터 1.1 이 꺼내지기 때문에 아무린 불편함이 없다.

요약 (예제)

  • 어셋 개발은 v0.5, 배포된 버전은 v1.2 라 할 때,
  • 수정이 필요한 배포된 어셋은 현행 버전의 카피를 만들어 v0.5에 덮어쓰고 거기서 다시 진행 후 v1.3 으로 배포